카테고리 글 목록: 05.지귀설화

지귀설화

다섯번째 이야기  ⌈지귀설화

저 지귀설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귀는 신라 활리역 사람이다. 선덕 여왕의 미모를 사모한 나머지 수심에 잠겨 울며 지내다가 모습이 파리해졌다. 선덕여왕이 불공을 드리고자 절로 행차할 때 그 소식을 듣고 지귀를 불렀다. 지귀는 왕의 부름을 받고 절로가 탑 아래에서 왕이 나오기를 기다리다가 지쳐서 돌연 잠이 들었다.
왕은 나오다가 잠든 지귀를 보고 팔찌를 빼어 그의 가슴에 얹어두고는 궁궐로 돌아갔다. 지귀는 잠을 깨자 안타까움에 번민하다가 이윽고 마음의 불이 일어나 탑을 뱅뱅 돌다가 불귀신으로 변했다.  
 
내용이 매우 간결하지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몇가지가 있는데요.
몇가지 의문점에 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왕을 사모해 그렇게 원하던 기회인데도 불구하고 잠이 들어버린 지귀, 왜 그랬을까요?

왜 왕은 팔찌를 빼어 주었는가?

왜 지귀를 불귀신으로 만들었는가?
 

이러한 의문점에 대해

저희 조원들이 이야기 한 결과

 

+ 정진우 : 신라시대에는 신분차이 심했기 때문에

지위가 낮은 지귀와 선덕여왕만날 수 없게 할려고 잠을 재웠다.

팔찌는 불공용 팔찌일 뿐이고.

지귀는 번민을 하다가 불귀신이 됐다.

즉, 불교적 의미의 불귀신으로

 사랑뿐만 아니라 속세에 대한 종합적인 감정을 드러낸다.

 

+김남수 :  자의적으로 잔 것일 수도 있지만. 타의에 의해서 잔 것일 수도 있다.

신분의 장벽.

선덕여왕은 신분에 대해 관대한 반면 주변은 그렇지 않다.

주변 의식 때문에 증표의 의미로 팔찌를 주었다

목걸이나 반지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준다는 의미

반면 팔찌는 그런 의미가 없다.

선덕여왕이 가슴에다가 팔찌를 얹어두었는데

주변사람들이 그것을 못마땅해서 그 팔찌를 불태웠다.

그러니까 마음의 불이 일어났다.

 

+차승진 : 반지나 목걸이는  의미를 많이 갖고 있는

장신구이기 때문에 부담이 될까봐

상대적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팔찌를 준 것 같다.

더 이상 이루어질 수 없겠다는 생각에

불귀신이 된 것 같다.

 

+임나은 : 지귀설화는 구전된 이야기인데

 지귀를 불귀신으로 만든 것을 보아

그 시대의 사람들은  지귀를 좋게 평가하지 않는 것 같다.

즉, 지귀와 선덕여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반대했.

마음의 불은 신분의 차이를 인식하고  체념한 나머지

스스로 타죽은 것은 아닐까?

 

+김해미 : 신분의 차이로 직접 무언가를 하기는 힘들어서

간단하게  팔찌를 대신 건네준 것이다.

불공의 팔찌보단 왕만이 찰 수 있는 팔찌 였을 것이다.

지귀가 여왕의 것임을 알아차렸으니까?!

 

+안소윤 : 선덕여왕도 지귀에게 마음이 있는데

목걸이나 다른 장식품은 받는 사람도 주변 사람들 눈치에도

부담이 될 수 있어서 팔찌를 주었다.

마음의 불은  지귀가 자괴감

현실을 부정하고 싶어하는 마음을 나타낸 것이 아닐까?.

 

+오가보 : 팔찌는 왕을 상징하는 것!

중국사람들은 다른 것을 줄 수 있다.

왜 팔찌인지는 잘은 모르겠다.

 

+유송조 : 마음의 불의

그 순간의 지귀의 정서

표현한 것 같다.

 

이러한 의견들이 나왔는데요!

이 의견들을 추려 나온 공통된 의견들은

 

번째,

지귀가 잠을 잔 것은

신분차이를 중요시했던 신라였기 때문에

지위가 낮은 지귀선덕여왕과 만나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기 때문에

그 둘을 만나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다!

 

번째,

왕이 팔찌를 빼어준 것은

다른 장신구에 비해 부담이 되지 않고

자신이 보고 갔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것 !

 

번째,

불귀신으로 변한 것은

자신이 잠에 들었었다는 자괴감

여왕을 만날 수 없는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마음의 불이 아닐까?

라는 의견으로 통합되었습니다.

 

+ 다른 조들의 의견과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

팔찌의 의미가

이정도로 챙겨주엇으니

더이상 다가오지도 기대하지도 말라

경고의 의미

될 수 도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지귀설화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으니

이제부터는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볼게요!

 

-

지귀설화 와 의상과 선묘이야기

번에는 지귀설화와

의상과 선묘이야기를 함께 비교해 볼 것입니다!

 
저,

의상과 선묘이야기에 대해  알아볼게요.

  의상이 등주 해안에 도착해 어느 신도의 집에 머물러 있었다. 그 때 선묘라는 이름을 지닌 아름다운 소녀가 37세의 장년이었던 의상의 빼어난 용모를 보고 오랫동안 사모했다. 마음을 움직여 보려고 몸은 단장하고 여러 방법으로 온같 애를 썼으나 의상의 마음은 전혀 움직이질 않았다. 선묘는 돌연 도심을 일으켜 영원토록 의상을 스승으로 받들겠다 맹세하고는 의상이 당나라 장안에 머물던 10년 동안이나 한결같이 정성을 다해 따르며 섬겼다.
의상이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고자 다시 등주로 와서 배를 타고 떠나려 하였다. 의상이 떠나는 것을 알게 된 선묘는 의복과 여러 가지 선물을 상자에 가득 담아 들고서 바닷가로 갔으나 의상이 탄 배는 멀리 사라지고 있었다. 선묘는 주문을 외워 진심으로 법사를 받들고자 하니 의복상자는 날아가 배에 실리라 하면서 상자를 물에 던졌다. 상자는 순식간에 날아가 배에 내려졌다. 자기는 다시 큰 용으로 변해 배를 부축하겠다 하고서 바다에 몸을 던져 큰 용이 되어서는 배를 보호해 그 배가 신라에 무사히 도착하도록 도왔다. 의상이 국내에서 불법을 널리 펴는 데도 선묘는 계속 도왔다.
왕명으로 의상이 부석사를 지을 때도 선묘는 용으로 변해 바위를 들어 올려 방해자들을 제압했다. 그 증거가 부석사 무량수전 뒤쪽 공중에 떠 있는 돌이다. 그것이 이른바 뜬돌 곧 부석이다.
 

제,

지귀설화와 다른 결론을 맺고 있는

술파가에 대한 조원들의 생각을 들어보겟습니다.

 

+김남수 :  왜 하필 용으로 변했을까요?

이라는 존재가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으니까

그리고 이 이야기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신분 문제가 부각되지 않았어요.

 

+임나은 :  이 이야기에서의 사랑은 단순한 사랑이 아닌

도심을 통한 사랑이에요.

또한, 둘의 사랑이야기가

구체적으로 나오지도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죠!

 지귀설화에는 지귀가 죽었으나

이 이야기에서 주인공이 죽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사랑이라는 직접적인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그 시대 사람들이 허용한 것이 아닐까요?

의상이 선묘의 외적인 모습에 흔들리지 않았고

그래서 선묘가 정신적 의미로 접근했다는 점도 있네요.

  

+차승진 : 비록, 외모에 반해 시작한 사랑이지만

일시적이었던 지귀에 비해

선묘는 의상을 10년동안이나

정성을 다해 섬겼다는 점이

 굉장히 의미있는 것 같네요. 

특히, 나중에는 도심으로 섬겼고

그로 인해 주술까지 부릴 수 있게 됐다는 점?

 

+안소윤 :  의상과 선묘의 관계가 그저

남자와 여자의 관계가 아닌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발전했다는 점이

다른 이야기과 다른 것 같아요!

 

+김해미 : 지귀설화와 비교해봤을 때

선묘가 의상에게 10년이나 바쳤다는 것

즉, 기간의 차이가 굉장히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용이 갖는 상징성도…

용은 비범한 존재니까

이야기를 다르게 만든 것 같아요.

 

+정진우 : 일단, 마지막에 보면

 부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나요?

부석이라는 기적의 상징물이 나오기 때문에

이 이야기는 지귀설화와는 다른 거죠!

또한, 지귀설화와 달리  이 이야기는

신분차이 같은것이 크게 존재하지 않는 이야기에요.

바로, 이런점이 다른거죠!

 

+오가보 : 이 이야기는 지위차이가 많이 나지 않아요.

 또한, 사랑보다는 존경의 감정이 더 큰

도심을 통한 사랑이에요!

 

렇게

 각자 이야기를 하고

종합해 보았는 데요.

 

도심을 통한 사랑의 관계로

단순한 사랑의 관계라기보다는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 변했다는 점

 

의상에 대한 선묘의 사랑이 허용되기 까지

오랜시간이 걸렸다는 점

 

두 사람의 신분차이도 크게 나지 않고

오히려 좋아하는 사람이

용으로 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점

이 세가지 점이 가장 크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P.S:이 이야기 속 주인공과 같이

적극성 능력

돋보여야 하나 봐요.

평강공주와 바보온달

 4조 발표를 통해서

강공주와 보온달”

동요”

향전”

녀와 무꾼” 과

귀설화를 비교해 볼 수 있었는데요.

번 포스트에서는

“평강공주와 바보온달” 과 “지귀설화”를 비교해 보려합니다.

 
 
 

강공주와 보온달”을

담고있는 영상입니다.

 
 

럼, 이제

귀설화와의  비교를 시작해볼까요?

 

번째로,

른 점을 찾아보자면

지귀설화에서는 지귀선덕여왕

평강공주와 바보온달에서는 평강공주온달을 좋아하잖아요?

,

지귀설화에서는 은 신분이 은 신분을 좋아하는데

이 이야기에서는

은신분이 은 신분을 찾아가서

좋아하게 되는 이야기구조를 갖고 있죠!  

 

번째!

지귀설화에서는 둘의 신분차이를 극복하지

했죠?

지만,

이 이야기에서는 온달이

나중에 장군이 되면서

신분차이를 극복하게 된다는 점이 달라요.

 

이 내용이 4조 발표였는데,

저희 조원들은 이 발표를 듣고

그런 차이점이

생겨난 것일 까

고민해 보았는데요!

 

   우 오빠의 의견으로

단,

평강공주와 바보온달은

실존인물들이라는 점~~

그리고,

우오빠와 의 의견으로

같이 나온게

두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나라가 다른데,

신라 같은 경우는 고구려보다

신분제도확고했다는 점~~

을 뽑았습니다.

 

수오빠는

선덕여왕에 비해서 평강공주는

완벽한 존재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분차이가 극복되는 것이다

라는 의견을 제시해줬어요!

 

렇게,

귀설화”와 “강공주와 보온달”을

비교분석해보았는데요.

음 포스트에서는

동요와 함께 만날게요~!!

서동요

서 말씀드린 대로

이번엔 서동요를 만나볼 시간인데요!

 단,

영상을 먼저 보시죠~~~

서동요 동영상 (소유자가 막아놔서 링크로 대체해요~)

번에도

지귀설화와 어떻게

비교 분석하였는지 알아볼까요?

 

번째,

지귀설화에서귀는

굉장히 수동적인 인물이여서

결과 ,

결국 이 되어버리지만

서동요에서

동은 동요를 만들어서 선화공주와 사랑을 이루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인물입니다.

 

번째,

지귀는 귀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가 없어

지귀의 모가 누군지도 떤 인물인지도

알 수가 없지만

서동은

버지가

비범출생신분을 갖고 있습니다.

러한 차이점들이 존재하는데요!

 

렇다면

다음 포스트에서는

춘향전“과 지귀설화

선녀ㄴㅏ무꾼“과 지귀설화 로

아뵐게요!!

“춘향전” ,”선녀와 나무꾼” 그리고…지귀설화

춘향전에 대한 줄거리는

[03. 춘향전에 가면 알수 있습니다!

 

2014-06-11 21;48;48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는 다들 아시겠지만

략하게 한번 소개해 드릴게요!

 

한 나무꾼이 사냥꾼에게 쫓기는 사슴을 숨겨주자, 목숨을 건진 사슴이 은혜를 갚기 위해 선녀들이 목욕하고 있는 곳을 일러주며, 그 선녀들 옷 하나를 감추면 그 선녀가 하늘로 돌아갈 수 없게 되어, 결국은 나무꾼과 살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아이를 셋 낳을 때까지는 깃옷을 보여주지 말라고 당부한다. 나무꾼은 사슴의 말대로 달밤에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들이 목욕하는 것을 지켜보다가 옷 하나를 감추고 하늘로 올라가지 못한 선녀와 결혼한다.

그런데 아이를 둘 낳고 살던 어느날 나무꾼이 선녀에게 깃옷을 보이자, 선녀는 깃옷을 한 번 입어보는 체를 하다가 그대로 아이들을 데리고 하늘로 올라가 버린다. 그 후 나무꾼은 사슴이 일러준 대로 하늘에서 물을 퍼올리기 위해 지상으로 내리는 두레박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 다시 처자를 만나 행복하게 산다는 이야기이다.

 거리를 살펴보았다면,

번엔   지귀설화와 비교를 시작해 볼까요?

일단, “향전”과 “귀설화”에서

지귀에 비해 춘향은 사랑에 뚜렷한 의지가 있는 인물로

굉장히 주체적인 존재입니다.

또한, 지귀설화에서는 역사적인 지명이 없지만,

춘향전은 역사적인 지명이 있네요!

녀와 무꾼”과 “귀설화”에서는

 
  1. 하늘에서 나무꾼을 거부해 선녀를 바라만 볼 수 밖에 없었다.
  2. 나무꾼이 다시 한 번 더 사슴의 도움을  받아 선녀를 만나게 되어 행복하게 잘 살게 된다

이렇게  2가지의 결말이  존재합니다.

 

번째는,

낮은 계층과 높은 계층의 사랑이 이루어지면 안된다는

지배층 위주의 사상을 나타내는 결말이고

번째는,

신분상승을 꿈꾸는 하층민의 사상이 드러나는 결말입니다.

 

지만,

저희 조원들은 생각이 조금 달랐는데요!

 

나, 저희는 선녀와 나무꾼의 관계

지귀와 선덕여왕처럼

신분차이라고 나타내기는 조금

무리가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 나무꾼이 올라갈때는

사슴도움을 받아서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하늘에서 인정해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신분차이사랑이 극복되는 것이 아니며,

음부터 까지

나무꾼의 일방적인 사랑이라고 보아서

지귀와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이렇게

향전”과 “녀와 무꾼”을

귀설화”와 석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