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글 목록: 04.인타임

영화 인타임(Intime)


이 수업은

번은 꼭!

발표를 해야해요 ㅠㅠ

저희조는 영화 인타임과 춘향전을 비교분석하고

우리는 영웅이 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봤어요.


인타임포스터

<영화 인타임>

 

선 간단히 영화 인타임을 소개할게요!

타임은 화폐가 시간(수명)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인간은 25살에 성장과 노화가 멈추고 손목의 시간만큼만 살 수 있습니다.

시간을 더 벌면 더 살 수 있는 것이고,

시간을 모두 소모하면 사망합니다.

라서 현실은 빈부의 차가 있어도 적당히 살 수 있습니다만

인타임의 세계에서는 시간이 없으면 죽게되죠.

인타임의 주인공인 윌은 빈민가 출신으로

시간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어합니다.

 

러던 어느날, 100년이 넘는 시간을 소유한 해밀턴이라는 사람을 만납니다.

해밀턴은 누구나 살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다고 이야기하며

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리고 자신은 너무 오래살아서 생의 의미가 없다고 여기고,

윌에게 모든 시간을 주고 자신은 죽음을 택합니다.

 

헉. 줄거리를 일일히 설명하니 지루하군요.

(니가 필력이 없어서 그런거잖아!)

괜찮아요!

우리에겐 영화보다 잘 만들어진

예고편이 있으니까요!

예고편… 사랑한다…난 니가 없으면 안돼…

그럼 인타임 예고편을 볼까요?

 

 

 예고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헤밀턴을 만난 이후 윌은 상류층 지역으로 갑니다.

그리고 타임키퍼가 윌을 시간도둑으로 여기고 쫓게되죠.

은 타임키퍼의 주장에 황당해합니다.

빈민가의 죽음은 수사하지 않으면서

시간만 지킨다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윌은 은행장의 딸인 실비아를

납치

도망칩니다.

 

후 윌은 실비아와 함께

염장질도 빼놓지 않으며

시간을 훔치고 나눠지주는 정의의

의적질(?!)

을 합니다.

주님 오늘도 정의의 도둑이 되는 것을 용서해 주세요.

화 줄거리 소개는 여기까지하고

다음 포스트는 인타임 속 인물들의 시선을 볼게요~

적당히(?) 기대해 주세요~

인타임 인물들의 시선

번 포스트는 인타임의 줄거리를 둘러봤어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타임 인물들의 시선을 통해

무엇이 문제이고, 어떤 갈등이 있는지 파악해 볼거에요.

기대는 안되시겠지만 재밌게 봐주세요~

 

저 염장 & 의적질 커플의 시선입니다!

 

윌과 실비아

<윌과 실비아>

 

우선, 부럽습니다. 부러워요. 부러우면 지는건데 ㅠㅠ

커플은 다 죽어야해.

안보이는 겁니다. 착한 사람은 안보이는 겁니다. 

아니 커플만 안보면 되겠네요.

 

윌과 실비아의 시선

~ 하아~ 후~ 하아~

진정하고 계속할게요.

윌과 실비아는 우선 조심하면서 영원히 사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봅니다.

또, 옆에 사람이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 혼자 영원히 사는 것에 의미를 두지 않죠.

그렇기 때문에 인타임 속의 시스템을 부수고 싶어 합니다.

 

음으로 타임키퍼와 은행장,

시스템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시선입니다.

타임키퍼와 은행장의 시선

실 타임키퍼는 정의에 관심이 없습니다.

부유한 시간에도 관심이 없죠.

자신이 살아온 삶 자체가 이데올로기화된 인물이죠.

한편으로 한나 아렌트의 지적처럼

악의 평범함을 상징하는 인물 같기도 합니다.

그는 시스템에 순응하는 성실한 인간일 뿐이죠.

 

면, 실비아의 아버지인 은행장은 다릅니다.

시스템을 옹호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어떻게 유지되는지도 알고 있죠.

그는 진화론과 다윈을 좋아합니다.

그의 금고 비밀번호는 다윈의 생일이었죠.

글쎄요. 멀지 않은 미래라면서 너무 구시대적 발상인듯도 하지만

영화영화니까

따지지 않기로 하겠습니다.

 

처럼 윌과 실비아는 타인과 공존하는 삶을 목표로하고,

타임키퍼는 자신의 인생과 신념을 관철하기를 원합니다.

또 은행장은 타임키퍼와 입장은 다르지만

시스템을 유지한다는 점에서는 같죠.

그 목적이 자신과 가족의 안위라는 점은 다르지만요.

 

렇기 때문에 윌 – 실비아 커플과 은행장은

한정된 시간을 두고 갈등할 수 밖에 없고,

윌 – 실비아 커플과 타임키퍼는

정의라는 관점에서 갈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중간에 열폭이 있었지만

번 포스트는 등장인물들의 시선을 둘러 봤는데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인타임의 한계와 춘향전과의 접점을 보도록 할게요~

모쪼록 기대해주세요~

인타임과 춘향전 그리고 영웅

춘향전과 인타임

향전과 인타임의 접점은

두 주인공이 사회적인 문제를 인식했다는 점입니다.

 

은 빈층은 계속 빈층일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을 꽤뚫어 보았죠.

춘향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주변 사람들이 다 자신을 기생으로 봤지만

자신을 기생으로 보지 않는 이몽룡을 사랑했다는 것은

춘향이 역시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통찰하고 있었음을 증명합니다.

 

리고 윌과 춘향이는

영웅입니다.

비록 춘향이가 기득권층에 편입함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했지만

자신의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 자체와

자신의 정절을 지키는 것으로 불합리와 싸웠다는 점은

춘향이를 충분히 영웅으로 평가할만 합니다.

물론 자신이 기득권층에 편입됨으로 문제를 해결했기 때문에

춘향이 외의 사람은 전혀 구원하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입니다.

 

인타임의 한계

렇다고 윌이 완벽한 영웅이라는 것 역시 아닙니다.

사실 그 어떤 점보다도 – 윌이

영웅이기 때문에 문제죠.

 

화 내에서도 이를 잘 보여줍니다.

타임키퍼는 윌에게 윌의 아버지도 시간을 나눠주었으며,

그것이 실패해 죽었음을 이야기합니다.

영화 내에서 윌이 성공했지만

과연 한 명의 영웅이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요?

윌이 죽으면, 사회는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을까요?

 

윌이 살아있다 하더라도 영화 속에서처럼

물가를 올려 다른 빈층이 더 많은 부담을 떠안게 될지도 모르죠.

춘향이와윌

리는 누구도 춘향이나 윌 같은 영웅이 아닙니다.

아니 어쩌면 그런 영웅이 되어서는 안되는 것이

맞을지도 모릅니다.

 

상은 99%로 이루어진 사람들이 만들어가야 합니다.

1%의 특별한 사람들이 만들어 가는 세상은

좋은 세상이 될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러나 한편으로 우리 99%는 가끔 1%의 사람들을 잊고 살아가죠.

네 번 째 챕터였던 인타임에서는 1%의 영웅이야기를 하며 그들을

가루가 되게 깠습니다만

우리 99%는 또다른 1%의 사람들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 이야기는 여덟 번 째 챕터인  [우리는 99%입니다] 에서 상세하게 다룰거에요!

그럼 또 어디선가 다시 만나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번째 챕터

타임(Intime)

-Fin

 

P.S

아참 보너스로 PT했던 프레지도 링크할게요~

인타임(Intime) – 프레지